2017년 8월 28일 월요일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17년 8월 28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기념일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저는 이곳저곳에서 강의 부탁을 많이 받습니다. 제가 필요하다고 하시니 어떻게 안 가겠습니까? 그래서 시간만 허락한다면 무조건 강의 부탁에 승낙을 합니다. 하지만 강의를 가서 종종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강의를 하기 위해서 앞에 섰을 때, 전에 제가 강의하는 것을 들으신 분이 또 그 자리에 앉아 계실 때입니다. 그 순간에 긴장이 됩니다. 물론 강의 내용을 매번 다르게 하려고 마음을 먹어도 몇 가지 내용을 그대로 쓸 수밖에 없을 때가 있거든요. 이러한 당황함을 표시하지 않고 그분께 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제 강의를 자주 들으러 오시나 봐요. 지난 번 *** 성당에서도 뵈었던 것 같은데, 맞죠? 그런데 어떻게 하죠? 지난 번 강의와 똑같은 내용도 있을 텐데, 이것을 두고 저를 흉보시지는 않을까봐 걱정되네요.”
그랬더니 이분께서는 웃으면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저는 어제 일도 잘 기억나지 않아요. 그리고 다 좋은 말이라서 백 번 들어도 좋답니다.”
이 분 말씀에 얼마나 큰 힘을 얻을 수 있었는지 모릅니다. 사실 “빠다킹 신부 강의는 매번 똑같아서 들을 것이 없어.”라고 말할 수도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오히려 몇 번 들어도 상관없다는 말씀에 더욱 더 힘을 내서 강의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힘이 되어 주는 사람이 있고, 반대로 힘을 빼는 사람이 있습니다. 물론 받아들이는 사람에게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노력한다면 얼마든지 내 이웃들에게 힘이 되어 주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사랑을 늘 강조하신 주님이시기 때문에, 우리가 힘을 빼는 것이 아니라 힘을 주는 존재로 생활하시기를 원하실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모습을 더 간직하고 계십니까?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꾸짖는 사제와 율법학자들을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돌보아야 할 사람들에게 끝이 없는 힘든 의무를 부과했습니다. 하느님께서 율법을 주신 것은 사람들이 이 세상 안에서 힘차게 잘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랑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시 종교지도자들은 사랑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커다란 짐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이 사람들 앞에서 하늘 나라의 문을 잠가 버리고 있다면서 ‘불행선언’의 주인공으로 내세워 꾸짖으시는 것입니다. 힘을 주는 존재가 아니라 힘을 빼는 존재로 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종교지도자들의 몫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씀입니다. 즉, 힘을 빼는 불행선언의 주인공이 아니라, 내 이웃들에게 힘을 주는 존재가 되어 ‘행복선언’의 주인공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떤 주인공이 되시겠습니까?
오늘의 명언: 행복은 습관이다. 지금 이 순간을 음미하기, 작은 일에 감사하기, 타인에게 관대하기, 눈을 돌려 꽃, 하늘 등 자연을 바라보고 감탄하기...(베르하르트 슐링크)
내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미국을 대표하는 코미디언, 배우, 작가, 제작자인 휘트니 커밍스(Whitney Cummings)는 말합니다.
“상처를 치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상처를 받지 않는 것이다. 상처를 받지 않으려면 나 자신을 먼저 바라보아야 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먼저 바라보지 않는 이유는 거기에 있는 연약함과 취약함을 상대에게 드러내고 싶지 않아서다. 상대의 공격을 받을까 두려워서다. 그래서 그토록 집요하게 남들의 모습을 파고들고 판단하는 데만 열중하다가 오히려 큰 상처를 입는다. 마음껏 부드러움과 연약함, 취약함을 드러내라. ‘나는 당신을 해치지 않아요.’라고 말하면 상대는 마음을 연다.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말하면 상대는 더 활짝 마음을 연다. 내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은 타인을 따뜻하게 인정하는 것이다.”
남의 힘을 빼앗을 때에는 자기 스스로의 힘도 빼앗기게 됩니다. 그러나 남에게 힘을 주는데 노력하면 내 자신도 모르게 힘을 얻게 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